본문 바로가기
2025/Solving

BOJ_7569 토마토(JAVA)

by 껐다 켜보셨어요? 2025. 4. 6.

펼쳐서 문제 보기

더보기

문제

철수의 토마토 농장에서는 토마토를 보관하는 큰 창고를 가지고 있다. 토마토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격자모양 상자의 칸에 하나씩 넣은 다음, 상자들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서 창고에 보관한다.

창고에 보관되는 토마토들 중에는 잘 익은 것도 있지만, 아직 익지 않은 토마토들도 있을 수 있다. 보관 후 하루가 지나면, 익은 토마토들의 인접한 곳에 있는 익지 않은 토마토들은 익은 토마토의 영향을 받아 익게 된다. 하나의 토마토에 인접한 곳은 위, 아래, 왼쪽, 오른쪽, 앞, 뒤 여섯 방향에 있는 토마토를 의미한다. 대각선 방향에 있는 토마토들에게는 영향을 주지 못하며, 토마토가 혼자 저절로 익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한다. 철수는 창고에 보관된 토마토들이 며칠이 지나면 다 익게 되는지 그 최소 일수를 알고 싶어 한다.

토마토를 창고에 보관하는 격자모양의 상자들의 크기와 익은 토마토들과 익지 않은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며칠이 지나면 토마토들이 모두 익는지, 그 최소 일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단, 상자의 일부 칸에는 토마토가 들어있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

첫 줄에는 상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정수 M,N과 쌓아올려지는 상자의 수를 나타내는 H가 주어진다. M은 상자의 가로 칸의 수, N은 상자의 세로 칸의 수를 나타낸다. 단, 2 ≤ M ≤ 100, 2 ≤ N ≤ 100, 1 ≤ H ≤ 100 이다. 둘째 줄부터는 가장 밑의 상자부터 가장 위의 상자까지에 저장된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진다. 즉,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하나의 상자에 담긴 토마토의 정보가 주어진다. 각 줄에는 상자 가로줄에 들어있는 토마토들의 상태가 M개의 정수로 주어진다. 정수 1은 익은 토마토, 정수 0 은 익지 않은 토마토, 정수 -1은 토마토가 들어있지 않은 칸을 나타낸다. 이러한 N개의 줄이 H번 반복하여 주어진다.

토마토가 하나 이상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여러분은 토마토가 모두 익을 때까지 최소 며칠이 걸리는지를 계산해서 출력해야 한다. 만약, 저장될 때부터 모든 토마토가 익어있는 상태이면 0을 출력해야 하고, 토마토가 모두 익지는 못하는 상황이면 -1을 출력해야 한다.

 

예제 입력 1 

5 3 1
0 -1 0 0 0
-1 -1 0 1 1
0 0 0 1 1

 

예제 출력 1 

-1

 

예제 입력 2 

5 3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예제 출력 2 

4

 

예제 입력 3 

4 3 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예제 출력 3 

0

 

오늘은 BFS 뽕 뽑는 날

좀 전에 풀이한 2178번과 풀이가 아주 비슷하다!

BFS 돌리면서 날짜를 바로 배열에 써 주면 된다. 

3차원 배열이기 때문에 델타배열 크기가 4가 아니라 6이 된다는 점

그리고 간단히 토마토가 다 익었는지 아닌지를 리턴하는 함수 정도만 만들어서 백트래킹 조금 넣어 주면 된다

중간에 저건 무시 ..... 무시를

아니 저거 왜 때문에 틀린 거냐면

출력부가 원래 System.out.println()으로 되어 있었는데 (이유: 맨날 개행문자 끼워서 써야 되고 ;  버퍼 닫기 귀찮음)

BufferedWriter로 바꾸면 그래도 좀 빨라지나? 싶어서 허겁지겁 바꾸다가 생긴 일이다

개행문자 빼먹어서 쓰레기 값(은 아니지만 아무튼 잘못된 값) 들어감 ㅋㅋ

근데 바꿔도 그다지 빨라지진 않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 토마토
	static int[][][] farm;
	static Queue<Idx> Q = new LinkedList<>();
	static int days; // 토마토가 다 익는 데 걸리는 시간
	
	static void setter()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int col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row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heigh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farm = new int[height][row][col];
		
		for(int i = 0; i<height; i++) {
			for(int j = 0; j<row; j++)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for(int k = 0; k<col; k++) {
					farm[i][j][k]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
	}
	
	static void printOut() { // 디버깅 용도
		for(int[][] layer : farm) {
			System.out.println("=================");
			for(int[] line : layer)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line));
			}
		}
	}
	
	static class Idx {
		int row, col, height;
		Idx(int h, int r, int c){
			row = r;
			col = c;
			height = h;
		}
	}
	
	static void BFS() {
		// BFS 내부에서는 뭘 해야 할까?
		// 0. Q가 비어있지 않은 동안 실행할 반복문 구조를 만듭니다
		// 1. Q에서 요소를 하나 빼줍니다
		// 2. 그 요소를 가지고 사방탐색을 해줍니다
		// 3. 탐색해서 찾은 친구들을 Q에 넣어 줍니다
		
		// 델타배열 : 위, 아래, 상, 하, 좌, 우
		int[] dh = {-1, 1, 0, 0, 0, 0};
		int[] dr = {0, 0, -1, 1, 0, 0};
		int[] dc = {0, 0, 0, 0, -1, 1};
		
		while(!Q.isEmpty()) {
			Idx curr = Q.poll();
			for(int i = 0; i<dh.length; i++) {
				int nh = curr.height + dh[i];
				int nr = curr.row + dr[i];
				int nc = curr.col + dc[i];
				if(nh>=0 && nh<farm.length &&
					nr>=0 && nr<farm[0].length &&
					nc>=0 && nc<farm[0][0].length ) {
					if(farm[nh][nr][nc] == 0) {
						farm[nh][nr][nc] = farm[curr.height][curr.row][curr.col]+1;
						if(farm[nh][nr][nc] > days) days = farm[nh][nr][nc];
						Q.add(new Idx(nh, nr, nc));
					}
				}
			}
		}
	}
	
	static boolean check() { // 토마토가 다 익었는지 확인해요
		for(int[][] layer : farm) {
			for(int[] line : layer) {
				for(int tomato : line) {
					if(tomato == 0) return false; 
				}
			}
		}
		return tru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setter();
		if(check()) {
			System.out.println(days);
			return; 
		}
		
		for(int i = 0; i<farm.length; i++) {
			for(int j = 0; j<farm[0].length; j++) {
				for(int k = 0; k<farm[0][0].length; k++) {
					// 익은 토마토 찾기
					if(farm[i][j][k] > 0) {
						Q.add(new Idx(i, j, k));
					}
				}
			}
		}
		BFS();
		
		if(!check()) {
			System.out.println("-1");
			return;
		}
		
		System.out.println(days-1); // 오늘은 포함되지 않아야 하므로
	}

}

백트래킹 끼워넣느라 main이 드러운데 이 구조를 어떻게 고치면 좋을지는 생각을 해봅시다

 

이걸 그냥 sysout 말고 BufferedWriter를 쓰게 되면 아래처럼 더 드러워짐 아우 신경쓰여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setter();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f(check()) { 
			bw.write(days +"\n");
			bw.flush();
			bw.close();
			return; 
		}
		
		// for문
		BFS();
		
		if(!check()) { 
			bw.write("-1");
			bw.flush();
			bw.close();
			return;
		}
		 
		bw.write(days-1 +"\n");
		bw.flush();
		bw.close();
	}

그래서 try-with-resources도 생각을 해봤는데요

새벽 세 시 반을 넘기니까 머리가 안 돌아갑니다

 

암튼 이로써 벼락치기 BFS가 끝낫읍니다

 

!!! 아 맞다

전에도 이 문제를 푼 적이 있는데요

https://nogotit.tistory.com/entry/BOJ-7569%ED%86%A0%EB%A7%88%ED%86%A0

 

BOJ 7569_토마토

문제 철수의 토마토 농장에서는 토마토를 보관하는 큰 창고를 가지고 있다. 토마토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격자모양 상자의 칸에 하나씩 넣은 다음, 상자들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서 창고에 보관

nogotit.tistory.com

같이 보시면 재밌습니다.(코쓱 .... 

저게 딱 1년 하고도 한 달 전이라니 

'2025 > Sol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_25192 인사성 밝은 곰곰이(JAVA)  (0) 2025.04.11
BOJ_1920 수 찾기(JAVA)  (0) 2025.04.11
BOJ_2178 미로 탐색(JAVA)  (0) 2025.04.06
BOJ_1926 그림(JAVA)  (0) 2025.04.05
SFTR_9657 나무 공격(JS)  (4) 2025.02.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