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etc.

[?] 특정 네트워크 연결에만 IP 지정하기

by 껐다 켜보셨어요? 2024. 7. 2.

노트북에서 wi-fi를 이용할 때 가끔 

지정된 IP로만 접속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기본 게이트웨이 / 기본 DNS / 보조 DNS 서버 값을 주고

채워넣으라고 하는데 보통은

이 경로를 통해 설정한다

근데 사실은 이걸 설정해 두면 모든 와이파이 연결의 default로 지정되기 때문에

다른 와이파이에 연결할 때(*특히 모바일 핫스팟) 사용할 수가 없다

저렇게 설정해 두고 다른 와이파이를 사용하려면 일일이

자동으로 IP/DNS 서버 주소 받기(DHCP로 주소 받기) << 로 설정을 변경해 두고 연결해야 하는데

이러면 이전에 입력했던 설정값을 따로 저장해 두지 않아서

또 다시 타이핑해서 연결해야 하는 불상사 매우 발생 

난 정시 출퇴근을 찍어야 하는 사람이라 이런 문제 매우 민감하다 

근데 일과 중에 핫스팟을 켜지 않으면 인터넷이 매우 느리다

귀차니즘을 어케 극복할 것인가

 

 (윈도우 10 / 11 기준) 와이파이 설정을 누른다

 

보안 키가 pass된 후여야 '속성' 이 뜬다

IP를 지정해서 연결해야 하는 와이파이의 속성으로 들어가 준다

 

그러면 이렇게 생긴 네트워크 설정 창이 뜬다. 

스크롤을 내리면

이렇게 지정되어 있을 것인데 

'편집' 눌러서 들어가 준다 

 

자동으로 되어 있던 항목을 수동으로 바꾸면

입력창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면 IPv4냐 IPv6이냐에 따라 따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막간 네트워크 토막 

DHCP는 네트워크에 접속한 개체에 IP주소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기기들의 묶음을 대충 서브넷(subnet)이라고 하는데

이 서브넷 안에서의 IP 주소와 밖에서의 IP 주소가 다르다

DHCP는 서브넷에 들어왔지만(이 장치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려고 하는) 아직 내부 IP 주소가 없는 기기에게 

IP 주소를 부여해 준다. 

기기가 보통 ('나 IP주소 없어요 ㅜ') Call을 보내고, DHCP가 응답하는 식이다. 

이때 기기는 Broadcast 방식으로 콜을 보낸다. 

따라서, 같은 기기더라도 접속하는 네트워크 장치가 다르면 IP 주소는 다르게 부여된다.

또, 네트워크 장치가 같고 접속하는 기기가 같더라도 접속 시일과 다른 장치와의 순서에 따라

부여되는 IP 주소가 다를 수 있다. 

 

즉 IP 주소를 지정해서 연결해야 한다는 것은

DHCP를 이용해 자동으로 새로운 ip를 할당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고로 

프라이빗 멤버십 비슷한 형태의 네트워크라는 것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또, 연결할 때마다 같은 IP로 고정된다.

(*이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뻘짓 하면 위험하다. 사용자 특정 가능 & 로그 다 찍힘) 

 

IPv4냐 IPv6이냐 하는 것은 사실 설정해야 하는 ip 주소만 보면 알 수 있긴 한데

xxx.xxx.xxx.xxx < 이런 숫자 형태라면 IPv4고(우리가 흔히 아는 IP 주소)

그게 아니라 이상한 모양이라면(16진수) IPv6이다. 

~~~

 

뭐 아무튼 ~ 

정보에 맞추어 입력해 준다.

서브넷 마스크 길이의 경우 서브넷 마스크를 알면 구할 수 있긴 한데(*둘이 다르다.)

그걸 지금 쓰려니까 시간이 모자람 ㅅㄱ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 뭐 모르면 서브넷 마스크 보여주고 길이 알려달라고 gpt한테 물어보면 된다. 

서브넷 마스크 정도는 남 보여줘도 됨 

아무튼 이렇게 등록되고 나면

다른 무선랜/wifi와 IP가 고정된 wifi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기존 설정(맨 위 사진, 제어판)은 DHCP 사용(자동으로 IP주소 받기)으로 설정해야 함)

 

 

 

댓글